
여성 대법관 4명을 제외하면 임명 당시 50대가 아닌 남성 대법관은 김지형(당시 47세), 이홍훈(당시 60세) 전 대법관 둘 뿐이며, 비 서울대 출신은 동아대, 고려대(2명), 영남대, 원광대, 한양대 등을 졸업한 것으로 파악됐다.
38명 중 무려 36명이 현직 법관 또는 법관 출신 변호사, 대학교수였으며, 법관 출신이 아닌 2명은 모두 검사장(김신욱, 안대희 전 대법관) 출신이었다. 35명의 법관 중 법원행정처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21명에 달했다.
사법행정을 관장하는 법원행정처가 법원 내 승진코스로 자리 잡고 그들만의 보이지 않는 힘이 법원 인사에 반영된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지만, 여전히 그 힘은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것이다.
2008년 이후 임명된 대법관15명의 당시 평균재산은 약 20억 원이고 서울 강남3구, 분당, 과천 등 10명이 소위 강남권에 거주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박민식 의원은 “대법원은 사법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정책법원의 기능을 수행해야 하므로 대법관은 사회적 다양성을 담보해낼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또 “법원조직 안에서 일종의 승진코스로 대법관 인사를 이용하는 행태는 사법부 전체에 대한 불신만 초래할 뿐이다”며 “정해진 공식에 맞춰 획일적인 후보를 추천하고 있는 대법관후보자추천위원회가 사실상 유명무실한 것 아니냐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다.
김민지 기자 news@seconomy.kr
<저작권자 © 공유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