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에 약 616만 건이었던 게 2015년 말 기준 약 783만건으로 늘었다.
이렇게 보험에 가입한 소비자가 2015년 1월부터 11월까지 납부한 금액만도 2862억 원 그리고 지급 보험금도 2377억 원에 달한다.
손해율, 즉 거둬들인 보험료 가운데 지급한 보험금의 비율은 약 83%이다.
박민식 의원실에 따르면 보험료납부현황(2015년 1월~11월)에 따르면 전체 납부보험료(2896억2214만3000원) 가운데 아이폰 납부 보험료는 776억1476만6000원(27%), 비 아피폰 납부보험료는 2120억737만7000원(73%)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보험료지급현황에 따르면 전체지급보험금(2376억5893만8000원)중 아이폰지급 보험금은 1147억2000만원(48%), 비 아이폰 납부보험금1229억3893만8000(52%)로 집계됐다.
크게 문제가 있어 보이진 않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상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전체 보험료 납부액 가운데 아이폰의 비중은 27%에 불과한 반면, 지급은 거의 50%에 달한다는 점이다.
특히 아이폰 사용자가 납부한 보험료는 776억여 원인데, 지급한 금액은 1147억여 원에 달한다. 손해율이 무려 148%로 전체 손해율(82%)의 두 배에 육박한다.
이는 애플의 독특한 AS정책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현재 스마트폰 보험료는 월 3~5천원을 납부해 파손, 분실 또는 도난이 발생했을 경우 약 80만원의 한도로 보험금을 지급하고 있다.
삼성전자에서 제조한 휴대전화의 경우 A/S센터를 통해 문제가 발생한 부품만 수리 또는 교체해 비용이 적게 드는 반면, 아이폰은 무조건 교환하는 방식, 일명 리퍼정책을 채택하다보니 높은 비용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보험사의 입장에서는 높은 손해율이 발생하는 아이폰에 대한 보험금을 비(非)아이폰 이용자가 납부한 보험료로 충당하고 있는 셈이라는 얘기다.
국회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간사를 맡고 있는 새누리당 박민식 의원(부산 북구강서구갑)은 “애플의 리퍼 정책은 부품수리가 아닌 무조건 더 많은 돈을 내고 중고휴대폰을 구입하라는 것인데, 이러한 애플의 리퍼 정책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최근 이 문제에 대해 금융당국도 휴대폰 보험료의 차등화를 검토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이에 그치지 않고 근본적인 정책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민지 기자 news@seconomy.kr
<저작권자 © 공유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