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보기

"기부할때 필요한 15가지 체크리스트"

기사입력 : 2017-12-09 14:10
+-
[공유경제신문 한정아 기자] 연말 자선단체들이 거리, 집, 전화, 우편, 인터넷 등을 통해 자선 모금을 권유한다.

모금에 마음이 끌린 기부자는 공익 목적 사업에 당연히 기부금이 쓰여질 것이라 믿는다. 대부분 기부자의 기부금은 합당한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자선단체에 대해 시간을 들여 배우는 것도 필요하다. 자선단체가 보람된 일을 하고 지지 받을 만한 가치가 있는지는 개인 기부자의 결정에 달려 있다.
자료 사진= 한국가이드스타
자료 사진= 한국가이드스타


한국가이드스타가 제시하는 ‘기부처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체크리스트 15가지’는 기부자들이 기부처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1. 지역사회의 자선단체에 참여해보고 그들의 자선 사업을 지원하세요.

많은 기부자들이 가치 있는 자선단체를 선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지역사회의 자선단체에서 자원봉사자로 일해보는 것이다. 이것은 지역사회에 도움이 되는 자선사업에 대한 직접적인 지식을 쌓는데 도움이 된다.

2. 기부에 대한 요청을 받으면 자선단체의 기관정보, 사업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세요

한국가이드스타(www.guidestar.or.kr)는 자선단체의 기관 및 회계정보를 공개하고 회계정보에 따른 투명성 및 재무안정성 등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여 해당 기준에 따라 보고서를 발행한다.
자료 사진= 한국가이드스타
자료 사진= 한국가이드스타


3. 기부요청자에게 해당 자선단체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세요

기부요청자가 모금대행업체(텔레마케터 회사) 직원인지, 자선단체의 직원이 맞는지, 기부금영수증 발급이 가능한지, 기관 운영정보 공개가 가능한지 물어본다. 확실한 답을 하지 못하거나 답변을 꺼리는 경우 다른 곳에 기부한다.

4. 나의 기부금이 어떻게 배분되는 것인지 물어보세요

내가 낸 기부금이 자선사업에 얼마가 사용되며 자선단체의 행정 비용과 모금 비용으로 얼만큼 사용하는지에 대해 물어본다.

​​
5. 자선단체에 대한 정보를 서면으로 요청하세요

자선단체가 기부금단체로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자선단체의 자선사업 개요, 기부금 사용 비율, 기부금 공제액을 증명하는 자료를 요청한다.

6. 자선단체에 직접 전화해 보세요

기관이 실제 존재하고 있는지 기부 요청하는 것을 알고 있는지 직접 확인하세요. 만약 자선단체가 명칭 사용 승인을 받지 않은 경우 여러분은 사기꾼을 상대하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7. 모방 또는 유사한 이름의 기관명에 주의하세요

일부 의심스러운 자선단체는 이미 잘 운영되고 있는 자선단체의 명칭과 매우 유사한 이름을 사용한다.

8. ‘비영리단체’에 대한 기부가 곧 ‘기부금 공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비영리단체란 이윤을 추구하지 않는 영역에서 주로 활동하는 준공공 및 민간조직을 의미한다. 하지만 비영리단체에 대한 기부가 항상 기부금 공제가 가능한 것은 아니다. 기획재정부(www.mosf.go.kr) 또는 한국가이드스타 홈페이지에서 해당 자선단체의 기부금단체 여부를 확인한다.
"기부할때 필요한  15가지 체크리스트"

9. 계좌입금, 신용카드로 기부시 예금주를 확인하세요

예금주가 기관명이 아닌 개인 또는 주식회사일 경우 사기일 확률이 높다. 기부금 단체는 단체 이름의 전용계좌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자선단체의 평판이 좋지 않을 경우 전화로 개인정보 또는 금융정보를 전화로 알려주지 않는다.

10. 기부 권유가 불편하면 기부금을 내지 마세요. 특히, 기부금을 받기 위해 답례품을 보낸다는 강압적인 자선단체를 경계하세요

책임감 있는 자선단체는 기부금을 강요하지 않고, 부정적인 행동을 초래할 수 있는 말을 시사하지 않는다. 자선단체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얻은 후에 기부를 하는 것이 현명하다.

11. 협박이나 의심스러운 요청은 전화를 끊거나 외면하세요

위협적인 기부 요청을 받았다면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고발센터에 신고한다.

12. 기부금 대가로 사은품 또는 바우처를 보장하는 기부 사기 희생자가 되지 마세요.

사은품과 바우처는 좋게 보면 기부자를 호도하는 것이다. 사은품 또는 바우처를 받는 자격을 갖추기 위해 기부할 필요는 없다.

13. 기금모금 행사를 위해 상품 또는 티켓을 구입하거나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대가로 무료 제품을 받을 때는 드는 비용을 고려해 보세요

답례 상품 비용은 일반적으로 기부자의 기부금으로 지불된다. 또, 기부에 대한 대가로 받은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가치는 대부분 기부금공제가 되지 않는다.

14. 거짓 주장을 조심하세요

누군가 기억하지 못하는 기부에 대해 감사해 한다면 의심한다. 서약이나 기부에 대한 사기성 ‘청구서’에 주의를 기울인다. 몇몇 자선단체들은 이러한 사기성 수법을 사용한다.

15. 자선단체의 재무 공개 보고서를 확인하세요

총자산 5억원 이상 또는 총수입 3억 이상인 자선단체들은 매년 국세청에 결산서류를 공시해야 한다. 공시양식에는 자선단체의 공익사업현황, 직원 수 등 단체 현황과 기부금 수입금액, 공익목적 지출금액 등 재무정보에 대해 알 수 있다. 한국가이드스타 또는 국세청 홈택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정아 기자
<저작권자 © 공유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