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세미나에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흐름에 적응할 수 있도록 모든 국민에게 충분한 직업능력개발 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평생직업교육의 미래 정책 방향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활발히 진행됐다.
박동열 선임연구위원은 직업교육훈련 기회 불평등(TVET Divide) 현상과 청년 실업 문제 등을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고졸 선취업 후학습 정책을 강조한 데 이어 직업계고 학점제와 지역교육공동체에 기반한 취업 지원 역량 강화, 직업계고에 적합한 일자리 발굴 그리고 선순환적 지역 인재 양성 및 활용을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했다.
김기홍 선임연구위원은 "정부부처와 시·도교육청 및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다양한 직업교육훈련 지원 강화는 미래 인적자원 확보라는 측면에서 중요하며, 모든 직업계고의 교육 경쟁력 확보와 교육 정체성 유지에 기여한다"고 말했다.
이수정 연구위원은 "국민이 생애에 지속적이고, 유연하게 직업교육훈련을 받을 수 있는 직업교육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령 구애 없는 대한민국(Age-free Korea)’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모든 국민이 생애에 걸쳐 삶과 일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직업교육체계를 구축해 공공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나영선 원장은 “직업능력개발은 ‘교육훈련-노동-은퇴 또는 재취업’이라는 국민 개개인의 생애에 지속적으로 추구돼야 할 일련의 과정으로, 각 이행국면에서 소득 유지와 평생 고용능력 향상을 보장하는 정책이 수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경호 기자 news@seconomy.kr
<저작권자 © 공유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