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보기

[건강Tip] 뇌경색 유발하는 경동맥협착증, '스텐트'로 해결

기사입력 : 2019-05-31 16:11
+-
[공유경제신문 이경호 기자] 경동맥은 심장과 뇌를 이어주는 양측 목 부분의 동맥으로, 뇌로 가는 혈류의 약 80%를 보내는중요한 혈관이다. 따라서 경동맥이 좁아져 뇌의 혈액공급이 감소하거나 혈전이 발생한다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의하면 경동맥 협착 환자가 최근 4년간 54%가 증가하였다. 이는 경동맥 협착의 원인인 만성질환의 증가, 인구의 고령화와 함께 경동맥초음파나 MRI 혈관조영술과 같은 영상검사로 경동맥 협착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생각할 수 있다.

■ 뇌혈류의 감소와 혈전, 그리고 뇌경색
경동맥 협착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등의 만성질환 및 흡연 등에 의하여 경동맥의 혈관 손상과 동맥경화가 발생하고 혈관벽에 콜레스테롤, 섬유조직, 염증세포, 칼슘 등이 쌓이면서 경동맥 내강이 점차 좁아지다가 결국 막히게 되는 현상이다.

서서히 좁아지면서 아무런 증상없이 막히는 사람도 간혹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뇌로 가는 혈류가 부족하게 되거나 좁아진 동맥경화성 혈관에서 발생한 혈전이나 작은 조각이 갑작스럽게 경동맥이나 뇌혈관을 막아 마비, 의식소실, 언어장애 및 시력저하 등을 동반하는 뇌경색이나 일시적 증상을 유발하게 된다. 경동맥 협착에 의한 뇌경색은 전체 뇌경색의 약 10~15%정도인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동맥 협착이 무서운 이유는 혈관이 절반 가까이 막혀도 자각 증상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병원을 찾아 일부러 경동맥에 대한 검사를 하지 않으면 초기 진단이 어렵고, 증상이 있어서 발견된 경우에는 치료를 하더라도 이미 발생한 뇌경색에 의하여 휴유증이 남을 수 있다. 따라서 뇌경색의 가족력이 있거나 당뇨, 고혈압 및 심장이나 팔 다리 등의 혈관질환이 있다면 늦어도 50세 전 후에검진이 필요하다.

■ 수술만큼 효과 뛰어난 경동맥 스텐트설치술
경동맥 협착의 정도는 주로 경동맥 초음파와 MRI 나 CT 혈관조영술로 확인한다. 50% 이상의 협착이 있으면서 뇌경색이 발생하였거나, 아무런 증상이 없더라도 70% 이상의 협착이 있다면 뇌경색의 재발 및 예방을 위하여 경동맥 스텐트설치술이나 수술 (경동맥 내막절제술) 등의 적극적인 치료가 권고되고 있다. 그러나 경동맥 협착이 심하지 않고 증상이 없다면 만성질환을 조절하면서 약물치료를 하게 된다.

오래전부터 시행되어왔던 경동맥 내막절제술은 대부분 전신마취를 통하여 목 부분과 경동맥을 직접 절개한 후 동맥경화성 물질이 침착되어 있는 혈관내막을 제거하는 수술이고, 2000년대 이후로 급격하게 증가한 경동맥 스텐트설치술은 전신마취의 필요 없이 대퇴동맥으로 작은 관을 삽입하여 경동맥 협착이 있는 부위에 풍선과 스텐트라는 금속 그물망을 펼쳐 좁아진 혈관을 넓혀주는 방법이다.

스텐트설치술이 시작된 초기에는 수술에 비교하여 경동맥 스텐트설치술의 합병증과 사망 발생 빈도가 조금 높게 보고 되었으나, 최근 들어 스텐트설치술을 위한 기구들 및 약제의 발달과 함께 치료 경험이 축적되면서 스텐트설치술의 효과가 점차 좋아지게 되었다. 최근에 발표된 대규모의 연구들도 스텐트설치술과 수술을 비교하였을 때 두 가지의 치료가 서로 비슷한 수준의 결과를 보이고 있어 경동맥 스텐트설치술이 수술을 대체할 수 있는 치료로 자리를 잡고 있다.

수술보다 덜 침습적이어서 흉터가 없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 때문에 경동맥 스텐트설치술이 최근에는 많이 선호되고 있다. 하지만 스텐트설치술과 수술 중 어떤 것이 더 좋다기 보다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서로 보완적인 부분들이 있기 때문에 전문가와의 상의 하에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물론 심각한 심장 및 폐 질환 등이 있어 마취나 수술의 위험성이 큰 환자에서는 경동맥 스텐트설치술이 수술보다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글:건국대병원 영상의학과 노홍기 교수

이경호 기자 news@seconomy.kr
<저작권자 © 공유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