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7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69억5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0월(93억5000만달러) 이후 9개월 만에 최대 흑자다. 지난 4월 6억6000만달러 적자에서 5월 48억100만달러 흑자로 전환한 뒤 석달째 흑자 기조를 유지한 것이다.
그러나 지난해 같은달 수준(85억5000만달러)에 비해서는 16억달러(19%) 감소하며 지난 2월부터 6개월 연속 축소 흐름을 보였다.
상품수지는 61억9000만달러 흑자였다. 지난해 7월(107억9000만달러)보다 46억달러(43%) 급감했다. 상품수지 흑자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기준 지난해 11월부터 9개월 연속 감소했다. 상품수지가 악화된 것은 수출 부진세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수출은 482억6000만달러로 전년동월대비 10.9% 줄어 지난해 12월부터 8개월째 내림세를 이어갔다.
수출 부진 여파와 국제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수입도 석달째 동반 하락했다. 수입은 전년동월대비 3.0% 줄어든 420억8000만달러를 나타냈다. 다만 자본재 감소세가 둔화하고 소비재 수입이 늘면서 감소폭은 전월(-11.8%)보다는 축소됐다.
서비스수지는 16억7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해 전년동월대비 기준 넉달 연속 개선 흐름을 보였다. 1년 전 수준(-30억9000만달러)와 비교하면 적자 폭이 14억2000만달러(46%) 줄었다. 중국인과 일본일을 중심으로 입국자수가 늘면서 여행수지 적자가 같은 기간 14억9000만달러에서 11억8000만달러로 개선된 영향이 컸다. 여행수지 적자는 11월 연속 개선세다.
본원소득수지는 30억달러 흑자를 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투자소득수지가 30억8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한 영향이다. 투자소득수지 흑자 규모도 역대 1위였다.
김지은 공유경제신문 기자 news@seconomy.kr
<저작권자 © 공유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