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이 GDP 상위 10개국과 한국의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간 양극화 수준을 비교 분석한 결과, 2018년 한국기업의 양극화 수준은 10위를 기록했다.
한경연이 사용한 기업간 양극화 지표는 ‘매출 5분위배율’로 5분위계층(최상위 20%)의 평균 매출을 1분위계층(최하위 20%)의 평균 매출로 나눈 값이다.
2018년 한국의 매출 5분위배율주3)은 169.1로 나타났다. 이는 상장기업 상위 20%의 매출이 하위 20%의 매출보다 169.1배 많음을 의미한다. GDP 상위 10개국의 매출 5분위배율은 ▶인도 3,940.9 ▶프랑스 3,601.7 ▶독일 2,714.1 ▶영국 1,725.4 ▶이탈리아 1,323.0 ▶미국 757.6 ▶브라질 752.7 ▶캐나다 602.6 ▶일본 266.2 ▶한국 169.1 ▶중국 125.6 순이다.
GDP 상위 10개국과 한국의 상위 20% 평균 매출액은 14조6000억원, 하위 20%는 269억원으로, 5분위배율은 1,452.6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매출 5분위배율보다 약 8.6배 큰 수치이다.
유환익 한경연 혁신성장실장은 "한국기업들의 매출양극화 수준은 주요국 대비 경미하여, 경제력 집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업규모에 따른 과도한 규제를 지양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지은 공유경제신문 기자 news@seconomy.kr
<저작권자 © 공유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