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보기

장기실업자 2014년 이후 추세적 증가... 구직기간 3개월 이상 실업자 취직확률 평균 33.4%

기사입력 : 2019-10-28 14:04
+-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공유경제신문 김지은 기자] 2014년 이후 장기실업자가 추세적으로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실업자의 취직확률이 큰 폭 하락하면서 지속 누적되고 있는 영향 때문. 해고로 일자리를 잃었거나 출산, 육아, 가사, 은퇴 등으로 노동시장에서 벗어났다가 재진입하려는 구직자들의 경우 장기실업자가 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추정됐다.

28일 한국은행의 BOK 이슈노트에 실린 '실업자의 이질성 분석: 구직기간을 중심으로(오삼일 한은 조사국 과장, 박동훈·강달현 조사역 작성) 보고서'에 따르면 구직기간이 3개월 이상인 장기실업자의 취직확률은 평균 33.4%로 구직기간 2개월 이하인 단기실업자의 취직확률(53%)보다 19.6%포인트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장기실업자가 한 달 이내에 실업에서 벗어날 확률이 단기실업자보다 적다는 것이다.

이는 연구팀이 2006년 1월부터 올 9월까지 장·단기 실업자 유입 규모를 모형으로 추정해 취직확률 등을 분석한 결과다. 해당기간 단기실업자는 월평균 24만5000명, 장기실업자는 11만5000명 유입된 것으로 추정됐다. 평균 실업기간을 추정한 결과 단기실업자는 1.9개월, 장기실업자는 3개월로 조사됐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실업자의 취직확률이 추세적으로 하락한 가운데 장기실업자의 취직확률은 2015~2017년중 큰 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실업자는 애초부터 취직확률이 낮은 구직자가 되는 경향이 높았다. 통상 실업 상태가 길어지면 하나의 차별요인으로 작용해 장기실업자가 되는 확률이 높아졌는데, 특정한 이유로 처음부터 취직확률이 낮은 구직자 역시 장기간 실업상태에 머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취직확률이 높은 실업자와 낮은 실업자가 구직시장에 각 70명과 30명 유입됐을 때 5개월 뒤 취직확률이 높은 실업자는 1명만 남고 전부 실업상태에서 벗어났지만, 취직확률이 낮은 실업자는 적게 유입됐음에도 10명이나 남아있었다. 구직 기간이 길어질 수록 취직확률이 낮은 실업자만 남게 돼 평균 취직확률을 떨어트린다는 것이다.

연구팀이 누가 장기실업자가 되는 것인지 유입 유형을 살펴보니 실업 사유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해고에 의한 실업자의 경우 단기보다 장기실업자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노동시장 재진입 실업자도 장기실업자 비중이 높게 조사됐다.

이들 실업자의 취직확률은 각 36.4%, 33.5%로 평균보다 크게 떨어졌다. 반면 임시계약 완료 실업자(56.7%)나 신규진입 실업자(45.3%) 등의 취직확률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장기실업자 증가는 구조적 요인에 기인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자동화와 고령화 등으로 중간층 일자리가 사라지고, 노령층의 경제활동 참여가 높아지면서 구조적으로 장기실업자가 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구조적 요인에 의한 장기실업자 증가는 자연실업률 상승과 밀접하게 관련돼있기 때문에 정책대응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김지은 공유경제신문 기자 news@seconomy.kr
<저작권자 © 공유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