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순위는 2009년부터 10년간 발표된 연구논문을 데이터화하여 비교분석한 결과다. 김성훈 교수는 61개 연구논문을 발표하여 총 3,670명의 관련 분야 전문가 중 0.027% 속한다.
김성훈 교수는 “지난 40여 년 동안 지속적으로 개선·발전시켜 온 바이오 급속 교정분야(BIocreative Orthodontic Strategy, BOS)를 토대로 세계적으로 성과를 인정받게 되어 매우 영광스럽고 기쁘다”며 “기존방식을 고수하기보다는 항상 새로운 무언가를, 그리고 조금 더 효과적인 방법을 강구하는 등 환자를 위한 연구에 더욱 더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김 교수는 건강한 치아는 건드리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수술과 일반교정의 장점을 살린 독창적인 치료법, ’바이오 급속 교정‘을 통해 치료효과 및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특히, 미국교정학회지 백년 역사상 Top 100 Author (56위), 아시아 최초 교정학계 노벨상을 불리는 ‘에드워드 H. 앵글리서치 상’ 수상, 다중층 투명교정장치(OTP) 국내외 16건 특허 및 총 90여건의 바이오 급속교정 관련 특허 획득 등 다양한 연구 성과를 내고 있다.
이경호 공유경제신문 기자 news@seconomy.kr
<저작권자 © 공유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