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과 여성가족부가 18일 발표한 '2019 일·가정 양립 지표'에 따르면, 일을 우선시하던 사회에서 일과 가정생활의 균형을 중요시하는 사회로 변화하고 있었다.
일과 가정생활을 비슷하게 여긴다는 응답이 44.2%로 일을 우선시한다는 응답(42.1%)보다 높게 나타났다. 통계작성 이후 처음이다.
남성은 일을 우선시한다는 경우가 48.2%로 가장 높았다. 반면 여성은 '일과 가정생활을 비슷하게 생각한다는 비율이 49.5%로 가장 컸다.
그렇다보니 육아휴직에 참여하는 아빠들이 크게 늘었다.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는 9만9199명으로 1년 전(9만122명)보다 10.1% 증가했다. 이중 82.2%인 8만1537명이 여성이었다. 1년 전(7만8080명)보다 4.4% 늘었다.
육아휴직을 사용한 남성은 1만7662명(17.8%)에 불과했지만 1년 전(1만2042명)에 비해 46.7%나 불어났다.
육아휴직 대신 근로시간을 단축해 일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를 사용한 인원은 3820명으로 1년 전보다 35.4% 늘었다. 남녀 사용자 모두 늘었지만 전년대비 증가률은 남성(71.3%)이 여성(30.8%)보다 2.3배 높았다.
가족친화 인증을 받은 기업 및 기관 수 역시 3328개로 1년 전보다 18.8% 증가했다. 가족친화 인증을 받은 기업에 대한 제도적 지원과 인센티브 확대로 최근 4년 간 중소기업이 가장 많이 인증을 받았다.
그러나 직장에 돌아온 휴직자를 위한 법적·정책적 배려는 더 필요해보인다.
육아휴직을 마치고 직장에 복직한 근로자 7만8460명 중 79.1%(6만2044명)만이 복직 후 동일한 직장을 1년 이상 계속 다니고 있었다. 10명 중 2명은 1년을 채 못버티고 관둔다는 얘기다.
올해 4월 기준 '경력단절 여성'(경단녀)은 169만9000명이었고, 이중 15~54세의 기혼여성 비중은 19.2%였다.
경력단절 사유로는 '육아'가 38.2%로 가장 많고 '결혼'(30.7%), '임신·출산'(22.6%), '가족돌봄'(4.4%), '자녀교육'(4.1%) 순이었다.
여성 취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86.4%였다. 2년 전보다 0.8%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여성 취업에 긍정적인 사람 중에서 취업 시기에 있어서 '가정생활과 관계없이 생애 전반에 걸쳐 일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61.4%였다. '결혼 전까지'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2.4%로 집계됐다.
정지철 공유경제신문 기자 news@seconomy.kr
<저작권자 © 공유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