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민계정 2015년 기준년 2차 개편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인당 GNI 대비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 비율은 1975년 77.9%에 달했으나 지속 하락세를 나타내며 지난해에는 54.3%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GNI는 가계뿐만 아니라 기업, 정부 등 한 나라의 경제주체가 일정기간 생산활동에 참여해 벌어들인 소득을 인구수로 나눈 것으로 그 나라 국민의 생활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된다. PGDI는 가계 소득에서 세금이나 보험료 등을 빼고 처분가능소득(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기업과 정부에 분배된 소득은 빠진 것이어서 실제 가계의 주머니 사정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위 비율이 축소됐다는 건 상대적으로 기업, 정부 소득 비중이 커졌다는 것이다.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3434달러, 1인당 PGDI는 1만8144달러로 집계됐다. 4인 가족을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가계 소득은 13만4000달러가 아닌 7만3000달러 정도 되는 셈이다. 3만달러 시대를 체감하기 어려운 이유다.
한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생산구조에서 농림어업 비중이 축소되면서 임금근로자가 크게 늘고, 자영업자들은 법인화되면서 기업 소득이 가계 소득 증가 속도보다 빠르게 늘었다"며 "국민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커지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 마디로 가계의 체감소득이 약해진 셈"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국민소득이 3만달러대에 올라설 수 있던 데에도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면서 원화 가치가 상승한 영향이 컸다. 원화 가치가 오르면 달러로 환산한 소득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지난 2010~2018년중 1인당 GNI가 6.4% 증가했는데, 이중 환율 요인이 1.6%포인트를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됐다.
국민소득은 지난 2017년 3만1073달러로 첫 3만달러 대에 돌입했고, 지난해에는 3만3434달러를 기록했다. 환율 하락의 덕을 톡톡히 본 셈이다. 그러나 올해는 원·달러 환율이 상승(원화 가치 하락)해 1인당 국민소득이 3만2000달러 안팎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렇게 되면 2015년 이후 처음 감소세로 돌아서게 된다.
한은은 "GNI 증가율에 대한 기여도를 보면 실질소득 증가나 물가 상승 영향등은 다소 둔화했고, 환율 등 외부 요인은 커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한은은 경제구조 변화 등을 반영하고 통계 현실도를 높이기 위해 5년마다 기준년을 개편한다. 이번 2015년 기준년 개편은 2단계로 나눠 추진됐다. 1차 개편 때에는 종합 계정에 대해선 2000년 이후, 제도 부문별 계정 등에 대해선 2010년 이후까지 시계열을 조정했다. 이번 2차 개편에서는 총량 지표 기준 1953년 이후 시계열에 대한 조정 등이 이뤄졌다.
그 결과 1954~2018년중 연평균 경제성장률(실질 GDP)은 7.2%인 것으로 집계됐다. 1990년대에는 7.2%였으나 2000년대 4.9%, 2010년대 3.4%로 점차 둔화됐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GNDI)에서 피용자보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1953년 23.0%에서 지난해 45.7%로 확대됐다. 임금근로자수가 늘어난 영향이다. 영업잉여 비중은 61.2%에서 26%로 축소됐다.
김지은 공유경제신문 기자 news@seconomy.kr
<저작권자 © 공유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