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한국은행의 BOK이슈노트에 실린 '하향취업의 현황과 특징' 보고서(오삼일 한은 조사국 과장·강달현 조사역 작성)에 따르면, 하향취업률은 지난 9월 기준 30.5%로 집계됐다. 올해 처음으로 30%대를 넘어선 뒤 4월(30.5%)과 6월(30.5%)에 이어 역대 최고 수준을 이어갔다.
하향취업은 4년제 대졸자가 고졸 이하의 학력을 요구하는 일자리에 취직한 경우로 정의됐다. 한국표준직업분류와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에 따라 대졸자가 대졸 학력이 요구되는 관리자, 전문가 및 사무 종사자직에 취업하는 경우에는 '적정취업', 그외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농림어업 숙련 노동자, 기능 근로자 등으로 일하는 경우에는 '하향취업'으로 분류됐다.
하향취업률은 2000년부터 2007년까지 22~24% 수준을 맴돌았지만 2008년을 기점으로 올해까지 가파른 증가세를 나타냈다. 2000~2018년중 대졸자가 연평균 4.3%씩 늘어난 데에 반해 적정 일자리는 2.8% 증가하는데 그치면서 노동시장의 수요와 공급간 미스매치가 일어난 영향이다. 대졸자는 많아지는데 적정 일자리는 크게 늘지 않은 탓에 하향취업이 늘어나게 된 것.
하향취업자의 절반이 넘는 57%는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로 일했다. 연령별로는 청년층의 하향취업률이 29.5%로 상당히 높았다. 은퇴 이후 새로운 일자리에 취직하는 고령층이 많아지면서 장년층의 하향취업률도 35%나 됐다. 여성(18.9%)보다는 남성(29.3%)의 하향취업률이 높았다. 여성 중에서는 좋은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면 아예 취업을 포기해 '비경제활동인구(비경활인구)'로 빠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전공별로는 인문계나 이공계 할 것 없이 모두 높았다. 구체적으로 '자연(30.6%)', '예체능(27.7%), '인문사회(27.7%)', '공학(27%)' 등의 순으로 하향취업률이 높게 나타났다. 전공에 맞는 적정 일자리가 어느 정도 보장되는 '사범(10.0%)', '의약(6.6%)' 전공자의 하향취업률은 낮았다.
한번 하향취업하면 다시 빠져나오기 힘든 것으로 분석됐다. 하향취업자 중 85.6%가 1년 후에도 하향취업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적정취업으로 전환하는 비율은 4.6%에 불과했다. 오히려 실업자가 되거나 비경활인구로 빠지는 경우가 9.8%로 더 높았다. 3년 이후에도 76.1%는 하향취업을 유지했다.
하향취업자의 임금은 150만원 언저리에 집중됐다. 2004년~2018년중 하향취업자의 평균임금은 177만원으로 적정취업자의 임금(284만원)보다 38% 낮게 조사됐다. 다만 스스로 하향취업을 선택한 취업자를 감안해 적정취업 경험이 있는 대졸 취업자를 대상으로 하향취업했을 때의 임금 손실을 추정한 결과 36% 가량 임금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적정취업을 한 대졸자는 12% 정도의 임금 프리미엄이 붙었지만, 하향취업자에게는 대졸에 따른 임금 프리미엄은 없었다.
정지철 공유경제신문 기자 news@seconomy.kr
<저작권자 © 공유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