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상주 출신인 김 위원장은 1986년 한국전력에 입사해 1996년 노동운동에 투신, 전력노조 서부지부장에 선출된 후 2002년까지 3선을 했다. 이어 2002년 전국전력노조위원장에 당선돼 12년 내리 4연임을 했다.
2012년에는 공공산업노동조합연맹 위원장에 당선되어 전력 등 국가기간산업 민영화에 맞서 싸웠고, 2017년 한국노총 위원장에 취임해 한국노총 100만 조합원 시대를 열었다.
김 위원장이 이끄는 한국노총은 지난 19대 대선 당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정책협약을 맺기도 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에는 민주노총과 달리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 참여한 것을 비롯해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노동시간 단축, 광주형 일자리, 최저임금 인상 등의 노사정 합의에 참여해 정부와 보조를 맞췄다.
김 전 위원장은 입당식에서 "한국노총를 포함한 모든 노동자들은 문재인 정부가 약속을 지켜 성공한 정부가 되길 바라고, 저 역시 그렇다"며 "정책협약의 당사자로서 노동자 대중을 위한 정책을 만드는데 연대적 책임감을 느낀다"고 입당의 변을 밝혔다.
이어 "저는 지난 2017년 한국노총 위원장이 되면서 당시 문재인 후보와 정책협약을 맺었다"고 상기시킨 뒤, "정부가 성공하기 위한 필수조건은 국민과 한 약속 이행"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총선은 국민 뿐 아니라 노동자들의 미래가 걸린 중차대한 선거"라며 "노동존중 사회를 표방한 문재인 정부의 노동정책이 머뭇거림 없이 앞으로 나아가느냐, 좌초되느냐를 가르는 선거"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김 전 위원장은 "지금 저는 제가 걸어온 지난 25년 노동운동의 정체성을 안고 이 자리에 서 있다"며 "한 명의 노동자로서, 조합원으로서 우리 정치에 노동의 가치를 새겨 넣도록 노력하겠다. 일하는 사람들의 땀의 가치를 존중하는 사회가 먼 이야기가 아닌, 우리가 한 발자국만 앞으로 내딛으면 만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통상 민주당에서 노동계 몫 영입인사는 비례대표 공천을 받아왔으나 김 전 위원장은 지역구 출마 가능성도 열어둔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위원장은 총선 출마 방향을 묻는 질문에 "이제 내가 입당했기에 당과 상의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내가 모든 걸 결정하고 내 의지로 하는 것보다 앞으로 이제 입당했으니 지금부터 상의하고 방향을 결정하겠다"고 했다.
최저임금 산입범위 확대, 탄력근로제 확대 등으로 노동계와 정부간 긴장이 고조되는 것과 관련해선 "나도 고민 끝에 입당했다"며 "부족한 부분들을 앞으로 풀기위해 노력하겠다는 각오"라고 답했다.
이날 입당식에는 조정식 정책위의장을 비롯해 문재인 정부 첫 고용노동부 장관인 김영주 의원, 한국노총 출신인 이수진 최고위원, 이용득 의원 등이 자리했다.
조 의장은 "김 전 위원장은 2017년 당시 문재인 후보와 정책연대를 선언해 문재인 정부 출범에 큰 역할을 해줬다"며 "출범 후에는 노동계 대표로 경사노위에서 사회적 대타협 등 우리 사회의 많은 현안 해결에 앞장섰다"고 치켜세웠다.
그는 "김 전 위원장 입당을 통해 노동계와 민주당 간의 정책연대가 한층 강화되기 바라며 특히 ILO 특별협약 비준, 주52시간제 정착에 김 전 위원장이 큰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며 "민주당은 김 전 위원장과 함께 노동존중 사회를 만드는데 앞장설 것을 약속한다"고 환영했다.
앞서 한국노총 위원장을 지낸 이용득 의원은 "김 전 위원장은 지난 촛불정국이나 대선이나 항상 민주당과 노동계가 함께 갈 수 있도록 전면에 섰다"며 "우리 당이 노동존중 사회가 구호로 끝나지 않도록, 또 한국사회가 정치와 노동이 잘 맞물리지 않는 안 좋은 상황들을 바로잡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20대 국회에서 노동계몫 비례대표로 입성한 이 의원은 지난해 11월 블로그를 통해 "우리편이라고 믿었던 정부가 2년도 안 돼 주 52시간 상한제를 누더기로 만들었다. 우리 사회에 노동자를 위한 정치는 없는 것"이라고 문재인 정부를 비판한 뒤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었다.
민주당은 오는 11일 인재영입 19호, 20호를 소개함과 동시에 그간 영입했던 영입인사들을 한자리에 모으는 행사를 통해 1차 영입을 마무리짓는다는 계획이다. 19, 20호 영입인사는 남성으로 전해졌다.
조동환 공유경제신문 기자 news@seconomy.kr
<저작권자 © 공유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