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유럽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도심지역 인구과밀화로 인한 교통체증과 환경문제 해결수단으로 도시의 공중공간을 활용하는 신개념 교통체계인 UAM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우리나라도 드론을 운송수단으로 활용하는데 필요한 전담조직 신설,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로드맵 마련 등 정책적 지원에 발맞춰 대기업을 비롯한 업계의 참여노력이 활발한 상황이다.
경제중대본에서 확정된 기술로드맵은 지난해 6월 발표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로드맵의 후속조치로, UAM을 교통수단으로 활용하는데 필요한 핵심기술 확보전략을 담고 있다.
로드맵 작성 과정에는 산학연 전문가뿐만 아니라 실제 UAM 사업 참여자의 의견을 검토하는 등 실현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UAM은 새로운 교통수단인 만큼 실제 운영을 가정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필요한 기술을 발굴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안전성․사회적 수용성이 확보될 경우 기술개발을 통해 교통수단으로서의 경제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분석됐다.
2035년 성숙기가 되면 배터리 용량 증대 및 기체 경량화에 힘입어 비행가능 거리도 300Km(서울~대구 정도)로 증가하게 되고, 속도도 2025년 150km/h에서 300km/h로 빨라진다.
자율비행, 야간운항, 이착륙장 증설에 따른 노선 증가와 기체양산체계 구축에 따른 규모의 경제효과가 요금현실화로 이어져 교통수단으로서의 대중화가 가능해진다.
기술로드맵의 핵심인 ’안전성·수용성·경제성·지속가능성·상호발전‘을 핵심 목표로 한 추진전략의 주요 내용은 ▲기체 및 승객 안전성 확보 기술 최우선적 개발 ▲교통수단으로서 국민들의 수용성을 증대하는 친화기술 확보 ▲경제성을 위해 양산 및 유지관리 등 상용기술 마련 ▲인력양성 등 지속가능성 이끄는 기술·생태계 구축 ▲상호발전 유도하는 기술교류 확대 등이다.
로드맵이 확정됨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 민간에서 공통된 지향점을 가지고 UAM 현실화를 위해 기술개발 등을 추진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
이를 위해 오는 2035년까지 정부 지원이 필요한 분야에 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다부처 공동 신규 R&D 사업도 기획한다
UAM 기술분야 실증을 위한 ’K-UAM 그랜드챌린지‘와의 연계 및 활용을 위한 UAM특별법 제정도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김상도 항공정책실장은 “UAM은 아직 실현되지 않은 시장이지만 기존 항공분야와는 달리 주요 선진국들과 경쟁 가능한 새로운 시장이며 도전”이라며 “우리나라 항공산업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린 만큼 새로운 기술로드맵이 원활히 추진 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의 적극협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news@seconomy.kr
<저작권자 © 공유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