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도 ‘코로나 변이 확산’과 ‘부동산 시장 불안’을 1위와 3위 핵심 이슈로 손꼽은 가운데, ‘대선에 따른 포퓰리즘 정책 가능성’이 2위의 핵심이슈로 추가돼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20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사회, 경제, 산업, 국제 4가지 분야에 대한 ‘2021 사회·경제 주요 키워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 위드코로나, 인플레이션, 글로벌 공급망 훼손, 국경봉쇄강화,
2021년 국내외 가장 중요한 이슈로 사회분야에서는 ‘위드 코로나 전환에 따른 확진자 급증’이 1순위(35.3%)로 손꼽혔다. 다음으로 ‘부동산 가격 폭등 및 관련 스캔들’이 2순위(32.0%), 그리고 ‘세금 부담 증가(건강보험료, 고용보험료, 종부세 등)’가 3순위(13.8%)로 조사됐다.
기타(18.9%)로는 양당 대선 후보 선출(11.2%), 세대·젠더·계층 갈등 심화(7.0%)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경제분야에서는 ‘유가급등, 밥상물가 상승 등 인플레이션 확대·지속’이 1순위(26.3%)로, ‘국가부채 급증(전국민 재난지원금 논란 등)’이 2순위(23.9%), ‘청년실업 및 고용문제’가 3순위(22.9%)로 응답됐다.
결과를 보면 대부분 피부로 와닿는 생활 관련 고충으로 순위별로 응답률의 격차는 1%p~3%p 내외로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에서는 ‘기준금리 인상 및 가계대출 제한’(16.7%), ‘가상화폐 급등과 폭락 반복’(9.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산업분야에서는 최근에 발생한 요소수 품귀사태, 차량용 반도체 부족 등 ‘글로벌 공급망 훼손’이 29.8%의 응답률을 기록해 1순위로 나타났다.
2순위로는 펜데믹 기간 동안 글로벌 인기를 누린 오징어게임 등 ‘한국 콘텐츠 글로벌 인기’가 29.2%, 3순위로는 ‘2030년 한국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40% 상향 등 탄소중립 전환 가속화’가 19.9%로 나타났다.
국제분야에서는 ‘코로나 변이 확산에 따른 글로벌 국경봉쇄 강화’가 39.5%로 1순위로 조사됐다, 그리고 ‘미중 전략경쟁 장기화,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25.5%로 2위로, ‘중국 헝다사태·공동부유’가 14.8%로 3위를 기록했다.
◇ 코로나 급증, 부동산대응
사회, 경제, 산업, 국제 4가지 모든 분야를 망라한 종합순위에서는 2021년을 여전히 코로나의 해로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드 코로나 전환에 따른 확진자 급증’이 1순위(18.2%)로 나타났고 ‘코로나 변이 확산에 따른 글로벌 국경봉쇄 강화’도 3순위(11.7%)로 나타나 집계하면 29.9%로 압도적인 응답률을 보였다.
2순위부터는 ‘부동산 가격폭등 및 관련 스캔들(LH직원 부동산 투기 등)(14.0%)’, ‘세금 부담 증가(6.2%)’ 등 국민들의 먹고 사는 문제가 주요 이슈로 꼽혔다.
반면 2021년 정부 정책 중 가장 아쉬운 분야로는 코로나 방역이 아닌 ‘부동산 가격 폭등 대응’이 1순위(37.1%)로 선택됐다. 이어 ‘코로나 방역 조치(23.5%)’, ‘국가부채 급등(14.5%)’, ‘기준금리 인상 및 가계대출 규제(11.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2022년 주요이슈, 코로나 변이 확산
2022년에 국민이 전망하는 주요 이슈는 2021년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다만 2021년과 달리 주목할 점은 ‘대통령 선거에 따른 포퓰리즘 정책 가능성’이 2순위(23.4%)를 기록했다. 이어 ‘부동산시장 불안(20.0%)’, ‘한국사회 분열과 갈등 심화(11.8%), ’청년실업 및 고용문제(10.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응해 2022년에 출범할 차기 정부에 가장 바라는 정책으로는 ‘코로나 방역 및 단계적 일상회복 도모’가 1위(28.9%), ‘부동산 공급 확대 및 부동산 시장 안정화’가 2순위(21.0%)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빠르고 강한 경제회복과 활력 복원(19.4%)’, ‘미래세대를 위한 경제사회 구조 혁신(16.5%)’ 순으로 응답됐다.
김봉만 국제협력실장은 “조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국민들은 거대 담론 보다는 코로나 확진급증, 부동산 폭등, 밥상물가 급등과 같은 먹고사는 문제를 2021년과 2022년의 핵심 키워드로 들고 있다”면서 “정책당국과 새로 출범하는 정부는 이와 같은 국민들의 기본적인 관심을 반영, 피부에 와닿는 실용적 정책을 펴는 데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봉수 기자 news@seconomy.kr
<저작권자 © 공유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