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농장은 기존의 도시공동체와 농촌공동체가 힘을 합쳐 농작물을 재배할 뿐 아니라 체험, 치유 등 프로그램을 공동 운영하는 공동체 농장이다.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생활협동조합 등 도시 내 여러 공동체가 농촌지역의 조합, 마을기업, 생산자단체 등과 농산물 생산을 위한 공간(농지, 밭, 비닐하우스) 등을 마련한 뒤 이를 운영하는 방식이다.
민선 6기 도정 운영 방침인 공유경제를 농촌에까지 확산시키기 위한 새로운 사업 모델이다.
공유농장 유형은 기존의 따복미래농장뿐 아니라 ▲체류형·공유형 실습농장 ▲곡물, 과수, 시설재배 등을 연계한 농사펀드 ▲도시공동체의 소비 패턴에 따른 맞춤형 주문 생산농장 등이다.
도는 10인 이상의 도시공동체로부터 공유농장 설립 신청을 받은 뒤 이를 농촌생산자와 연결해준다. 이 과정에서 도는 운영 컨설팅, 공동체 조직화, 브랜드 개발 등을 지원한다.
도시-농촌공동체는 임대, 체류, 사전 주문(계약) 재배 등 운영 방식을 스스로 결정한다.
도는 내년에 사업비 10억원을 들여 공유농장 10곳을 조성하는 계획을 마련했다. 이후 사업성과 등을 바탕으로 공유농장 조성을 확대할 계획이다.
도는 농촌 자원 공유를 통한 농가소득 증대, 농촌 자원 활용, 농가 판로 확보 등 다양한 사업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새로운 경제모델로 떠오르는 공유경제를 농업에 적용하면서 농촌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면서 "공동체간 시너지 효과를 발휘, 지역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효과까지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지 기자 news@seconomy.kr
<저작권자 © 공유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