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 간 디지털·공유경제 규모는 1978억원으로 2015년 204억원에서 10배 가량 늘었다.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주택 단기임대 서비스, 유휴 차량을 이용한 개인 간 승차공유, 외국어 통·번역 재능공유 등이 여기에 속한다. 개인 간 디지털·공유경제 규모는 2016년 581억원으로 전년보다 두 배 이상 뛰었고 2017년에도 다시 갑절로 늘어난 1356억원이었다.
개인 간 디지털·공유경제 규모가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0.001%에서 2016년 0.004%, 2017년 0.008%, 2018년 0.011%로 상승했다. 이 중 에어비앤비 등 숙박공유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컸다.
지난해 개인간 디지털·공유경제에서 숙박공유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90%였다. 승차공유의 경우 B2C 모델이 많은 데다 개인 간 서비스는 아직 거래 규모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앞서 2014년 회계컨설팅회사인 PwC도 전 세계 공유경제 규모가 2013년 150억달러에서 2025년 3천350억달러로 불어난다고 전망하는 등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공유경제 규모는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김현 기자 news@seconomy.kr
<저작권자 © 공유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