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비앤비나 카 쉐어링같은 플랫폼이 가장 활발한 가운데, 공유경제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나 공유경제 활성화를 위한 공공부문의 역할 및 지원체계에 대한 논의도 이뤄지고 있다.
공공부문의 공유경제 활용 및 지원확대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은 도시 및 지역단위에서의 공유경제 활용 필요성에 대한 논의로 이어지고 있다. 공유경제 개념의 확산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환경문제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성을 제고함으로써 지역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공유는 빈집과 빈가게와 같은 유휴 및 잉여의 공간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 그리고 기존의 개발 패러다임이 작동하지 않는 도시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해결책으로, 사회적 변화에 기존의 제도화된 공간이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인가에 고민하게 한다.
이런 사회적 변화는 공간의 사용권을 공유하거나 다중의 동시 다발적인 이용이라는 새로운 공간 패러다임을 열게 된다.
이러한 패러다임은 물리적 자원의 공유, 비즈니스 또는 공공서비스 제공에서의 공유, 재능이나 활동 등을 포괄하는 비 정형적인 공유 활동 등 개인, 공동체/커뮤니티, 공동 및 정부단위 모두가 공유의 주요 주체로 그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지자체를 중심으로 공유경제 실현을 위한 접근 또한 체계화 되면서 공유 관련 기본계획, 시행계획, 실태조사 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있는 지역이 늘어나고 있다.
공유경제가 유휴자원의 효과적 이용을 통해 지역단위 경제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적 역할에서도 우리 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유효한 전략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지역 내 유휴자원과 유휴공간 등의 경제적·사회적 가치와 활용성을 제고하고, 나아가 지역사회 내에서의 새로운 관계형성 및 서로 다른 부문 간 협력에 기반한 공유활동 확산으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하고 복잡한 도시 및 지역 사회 현안 해결을 위한 정책 수단으로서의 공유경제 개념 도입 및 확산이 중요하다.
김지은 공유경제신문 기자 news@seconomy.kr
<저작권자 © 공유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